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7

尋牛圖 (심우도) 3. 見牛(견우) : 처음으로 소를 본다 3. 見牛(견우) : 처음으로 소를 본다 동자가 멀리 있는 소를 발견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는 본성을 보는 것이 눈앞에 다다랐음을 상징한다. 물에는 짠맛이 있으나 보기만 해서는 모르고 맛을 보아야 짠지 아닌지 알 수 있고, 그림의 색깔만 보아서는 그 그림을 채색할 때 아교가 들어가는지 알수가 없고 자기가 집적 그림을 그려보아야 알수 있다. 남이 하는 것을 보기만 해서는 소용이 없고 자신이 직접 체험을 깨칠 수 있고 본성을 찾을 수 있게 된다. 從聲得入 見處逢源 六根門著著無差 勸用中頭頭顯露 종성득입 견처봉원 육근문저저무차 권용중두두현노 水中고味 色裏膠靑 貶上眉毛 非是他物 수중고미 색리교청 폄상미모 비시타물 소리를 따르니 들어감을 얻고,(소가)있는 곳을 보게되니 근원을 만난다 육근문(眼耳鼻舌身意)이 .. 2023. 7. 17.
尋牛圖 (심우도) 2 見跡(견적) : 발자국을 찾아서 2 見跡(견적) : 발자국을 찾아서 소발자국을 찾은 상황을 묘사한 것으로서 순수한 열의를 가지고 꾸준히 공부를 하다보면 본성의 자취를 어렴풋이 나마 느끼게 된다는 것을 상징화 한 것이다 依經解義 閱敎知踪 明衆器爲一金 體萬物爲自己 의경해의 열교지종 명중기위일금 체만물위자기 正邪不辨 眞僞奚分 未入斯門 權爲見跡 정사불변 진위해분 미입사문 권위견적 경서에 의하여 불별을 하게되고, 가르침을 점검하여 종적을 알게된다 많은 그릇이 일금(一金)임을 밝혀, 만물이 자기가 됨을 체험하게되어 정사(正邪)가 분별되지 않고서 참됨과 거짓이 어찌 나누어지리, 아직도 이문(門)에는 들지 못하니, 발자국이나 보았다고 하자. 水邊林下跡偏多 芳草離披見也마 수변임하적편다 방초리피견야마 縱是深山更深處 遙天鼻孔?藏他 종시심산갱심처 요천비공즘.. 2023. 7. 17.
尋牛圖 (심우도) 1. 尋牛(심우) : 소를 찾아간다 1. 尋牛(심우) : 소를 찾아간다 소를 찾는 동자가 고삐를 들고 산속을 헤매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처음 발심한 수행자가 아직은 선이 무엇이고 본성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지만 그것으 찾겠다는 열의로써 공부에 임하는 것을 상징한다. 從來不失 何用追尋 由背覺成以疎 在向塵而遂失 종내불실 하용추심 유배각성이소 재향진이수실 家山漸遠 岐路俄差 得失熾然 是非鋒起 가산점원 기노아차 득실치연 시비봉기 본래 잃지 않았는데 어째 쫒아서 찾으려 하는가? 본래 면목을 잃음으로 말미암아 이룸이 멀어지고 속세에 향해 있으니 잃고 말았다 가산은 점점 멀어지고 기로에서 어긋난다. 이해득실이 치열하니 시비는 칼날같이 일어난다 茫茫撥草去追尋 水闊山遙路更深 망망발초거추심수활산요로갱심 力盡神疲無處覓 但聞楓樹晩蟬吟 역진신피무처멱단문풍.. 2023. 7. 16.
太極圖(태극도) 無極道 무극도 復歸無極 煉神還虛 (脫胎求仙) 복귀무극 연신환허 (탈태구선) 取坎塡離 (得樂) 취감진리 (득락) 五氣朝元 (化合) 오기조원 (화합) 煉氣化神 煉精化氣 (煉己) 연기화신 연정화기 (연기) 玄牝之門 (得窮) 현빈지문 (득궁) 2023. 7.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