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현덕2

道德經 제 56장. 현덕(玄德). 지자(知者) 제 56장. 현덕(玄德). 지자(知者) 知者不言 言者不知 지자불언 언자불지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分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색기태 폐기문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시위현동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疏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고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불가득이리 불가득이해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故爲天下貴 불가득이귀 불가득이천 고위천하귀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으며,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변화에 눈을 감고, 세상의 문을 닫고, 도의 날카로움을 쳐내서, 그 복잡하게 얽힌 것을 풀어 헤치고, 어우러지는 빛과 같이 되어서, 낱낱이 티끌로 돌아가니, 이것을 일러 현묘함과 하나가 된다고 한다.] 塞其兌 잡념을 막고 閉其門 오관을 닫아 挫其銳 삶의 예리함을(희노애락의 큰것을) 무디게 하고 解其分 복잡함을 풀어 버.. 2023. 11. 2.
道德經 제 15장. 현덕(玄德), 도자(道者) 제 15장. 현덕(玄德), 도자(道者)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夫唯 不可識 故强爲之容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부유 불가식 고강위지용 豫焉若冬涉川 猶兮若畏四隣 儼兮其若容 渙兮若氷之將釋 예언약동섭천 유예약외사린 엄혜기약용 환혜약빙지장석 敦兮其若樸 曠兮其若谷 混兮其若濁 돈혜기약박 광혜기약곡 혼혜기약탁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動之徐生 숙능탁이정지서청 숙능안이구동지서생 保此道者 不欲盈 夫唯不盈 故能蔽不新成 보차도자 불욕용 부유불용 고능폐불신성 [선현들도, 미묘한 玄(우주)과 통하는 그 깊이를 알지 못하고, 도인 또한 알지 못하여서, 억지로 그것을 표현하였다.] [머뭇거림은 추운 겨울 냇물을 건너는 거와 같고, 망설이는 것은 사 방을 두리번거리며 두려워 조심하는 것 같고, 공손한 것은 모든 것 용 .. 2023. 9.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