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불교/심우도10

尋牛圖 (심우도) 9 返本還源(반본환원) : 근원으로 돌아간다 9 返本還源(반본환원) : 근원으로 돌아간다 주객이 텅빈 원상 속에 자연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비치는 경치를 표현하고 있다.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의 모습을 꿰뚫어 볼수 있는 지혜을 터득한 경지를 상징화한 것이다 本來淸淨 不受一塵 觀有相之榮枯 處無爲之凝寂 본래청정 불수일진 관유상지영고 처무위지응적 不同幻化 豈假修治 水緣山靑 坐觀成敗 불동환화 개가수치 수연산청 좌관성패 본래 청정하여 한티끌도 받지 않는다 유상(有相)의 영고성쇠를 보고 무위의 응적(凝寂)에 이르니 환화(幻化)와 같지 않음으로 어찌 수치(修治)을 가(假)할 것인가 수록 산청하여 앉아서 성패를 본다 返本還源已費功 爭如直下若盲弄 반본환원이비공 쟁여직하약맹롱 庵中不見庵前物 水自茫茫花自紅 암중불견암전물 수자망망화자홍 본향으로 돌아옴도 이미 헛된 .. 2023. 9. 30.
尋牛圖 (심우도) 8 人牛具忘(인우구망) : 소와 자기 자신 모두을 잊는다 8. 人牛具忘(인우구망) : 소와 자기 자신 모두을 잊는다 소다음에 자기 자신도 잊어버린 상태를 묘사한 것으로 텅빈 원상(圓相)만을 그리게 된다. 객관이었던 소를 잊었으면 주관인 동자 또한 성립되지 않는다는 주관과 객관이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를 상징한 것으로서 이 경지에 이르러야만 비로소 완전한 깨달음이라고 일컫게 된다. 凡情脫落 聖意皆空 有佛處不用오遊 無佛處急須走過 범정탈난 성의개공 유불처불용오유 무불처급수주과 兩頭不着 千眼難窺 百鳥어華 一場마羅 양두불착 천안난규 백조어화 일장마나 번뇌를 탈락하니 깨침의 세계가 모두 공(空)이다. 부처 있는 곳에 놀지 않고 부처 없는 곳에서 급히 달려가는 둘에 집착하지 않으니 천안도 엿보리 어렵다. 백가지 새가 꽃가지를 물어오니 한바탕 웃음거리로다 鞭索人牛盡屬空 碧天遙.. 2023. 7. 21.
尋牛圖 (심우도) 7 忘牛存人(망우존인) : 소를 잊고 자아만 남는다 7 忘牛存人(망우존인) : 소를 잊고 자아만 남는다 집에 돌아와 보니 애써 찾은 소는 간데 없고 자기만 남은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결국 소는 본성을 찾기 위한 방편이었으므로 이제 고향집으로 돌아오게 되었으니 방편은 잊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뗏목을 타고 피안(彼岸)에 도달 했으면 뗏목을 버려야 한다는 교종(敎宗)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法無二法 牛且爲宗 喩蹄免之異名 顯전魚之差別 법무이법 우차위종 유제면지리명 현저어지차별 如金出鑛 似月離雲一道寒光 威音劫外 여금출광 사월리운 일도한광 위음겁외 법에 두법(二法)이 없거늘 잠시 고를 종(宗)으로 삼았다. 비유컨대 토끼 잡은 그물과 전어잡는 통발이 잡고 나면 필요 없는 것이 아닌가. 금은 광산에서 나오고 달이 구름을 여의는 것과 같다. 일.. 2023. 7. 20.
尋牛圖 (심우도) 6 騎牛歸家(기우귀가) : 소를 타고 집에 돌아오다 6. 騎牛歸家(기우귀가) : 소를 타고 집에 돌아오다 동자가 소를 타고 구멍없는 피리를 불면서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오는 정경을 그리고 있다. 이 때의 소는 전체가 완전한 흰색을 띄고있다. 이때 흰 소는 동자와 일체가 되어서 피안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뜻하며 구멍없는 피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는 깊은 마음자리에서 흘러나오는 본성의 소리를 의미한다 干戈已罷 得失還空 唱樵子之材歌 吹兒童之野曲 간과이파 득실환공 창초자지재가 취아동지야곡 身橫牛上 目視雲소 哮喚不回 撈籠不住 신횡우상 목시운소 효환불회 로롱불주 간과(干戈)이미 끝나니 득실도 공이라 나무꾼은 노래하고 아이는 피리불며 소를 타고 하늘을 쳐다보니 불러도 돌아보지 않고 끌어내도 서지 않는다. 騎牛已麗欲還家 羌笛聲聲送晩霞 기우이려욕환가 강적성성송만하 一拍一歌.. 2023. 7.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