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반야심경

04. 반야심경 : 제목 摩訶般若 波羅蜜多 心經

by 단청의 무늬 2023. 5. 31.
728x90
반응형

 

글의(책의) 제목

202311003 글수정

 

04. 반야심경(般若心經) 제목                                                   

 

摩訶般若 波羅蜜多 心經
마하반야 바라밀다 심경

 

(마하반야  바라밀다)

摩訶般若 波羅蜜多

크나크신 지혜로서
저언덕을 건너갈수
있게하는 핵심경전

 

목차

 

1. 마하(摩訶)

1) 불교에서의 마하

2) 마하의 미학적 의미

3) 마하와 사회적인 맥락

4) 마하와 현대적인 사용

2. 반야(般若)

1) 반야의 불교적 의미

2) 반야의 수행과 깨달음

3) 반야의 미학적 의미

4) 반야와 현대적인 의미

3. 바라밀다(波羅蜜多)

1) 바라밀다의 의미

2) 육바라밀

3) 바라밀다의 수행

4) 바라밀다의 현대적인 해석

 

1. 마하(摩訶)

 "마하(摩訶)"는 중국어에서 "거대한"이나 "최고의"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불교에서는

"최상의", "최고의" 또는 "최종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이 용어는 불교에서 중요한 의미

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산스크리트어 'maha'의 음사로

()라고 번역을 한다. 즉 크다. 많다. 위대하다. 뛰어나다. 묘하다.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1) 불교에서의 마하

마하는 주로 불교에서 사용되며, 네 가지 주요한 마하가 있습니다. 이것은 '아라한트

마하(아라한트의 최고 상태)', '프라티카 브다 마하(개인적 깨달음의 최고 상태)', '보림

마하(아라한트나 프라티카 브다의 최고 상태)', '불변 마하(보림의 최고 상태)'로 나뉩

니다. 이들은 불교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고, 최종적으로는 불변 상태에 이르기 위한

여정을 나타냅니다.

 

2) 마하의 미학적 의미

마하는 종종 예술이나 미학적 표현에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중국 미술에서 "마하

조각"은 규모가 크고 위엄있는 조각 작품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3) 마하와 사회적인 맥락

마하는 종종 사회적인 의미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하 프로젝트"

대규모 사회사업이나 혁신적인 계획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마하와 현대적인 사용

마하는 현대에도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마하 속도"는 속도의 최고치

를 나타내며, 항공기의 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마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맥락에 따라서 다양하게 해석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불교에서의 마하와 그 외의 다양한 사용 예시를 소개했지만

, 이것이 모든 가능한 해석을 다 다룬 것은 아닙니다. 마하는 문화와 역사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마하

 

마하(摩訶)


범어로서 마하뜻은
크다많다 뛰어나다
의미로서 우주허공
삼천대천 공간적인
양적으로 초월탁월
불변진실 한정없는
최고경지 의미하네

 

2. 반야(般若)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 또는 팔리어 (빤냐)를 가리키는 낱말인데, 뜻에

따라 지혜(智慧)로 번역하고, 간단히 지() 또는 혜()라고도 한다. 지혜 즉 반야는 그

기초 또는 출발이 인과 즉 업과 업의 과보의 법칙 즉 연기법을 아는 것 또는 믿는 것에

있다. , 인과를 무시하거나 부정하는 사견(邪見)이 없는 것이 지혜의 출발이다.

 

달리 말해, 8정도의 정견의 시작이다. 반야는 선한 업 즉 유익한 업을 쌓아 현세와 미래에

마음에 드는 좋은 결과 즉 기뻐할 만한 결과를 가져오는 뿌리 또는 원인인 무탐 · 무진 ·

무치의 3선근 중 무치에 해당한다. 그리고 정견을 완전히 갖추는 것, 연기법을 완전히 아는

, 인과를 완전히 아는 것이 반야의 완성이다. 즉 완전한 깨달음이다.

 

1) 반야의 불교적 의미

반야는 주로 대반야경에서 다루어지는데, 이 경전은 대중(般若)이라고 부르는 지혜를 의

미합니다. 이는 세상의 진리를 깨닫고 모든 것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혜를 의미합니다.

 

2) 반야의 수행과 깨달음

불교에서는 반야가 모든 존재의 본래적인 실체를 깨닫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습니

. 이를 통해 개인은 무지와 착각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게 되며, 이는 법(불교의 가르침)

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3) 반야의 미학적 의미

미술이나 예술에서 반야는 종종 심오하고 깊은 느낌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미술에서는 "반야 요이치"와 같이 표현되어 깊은 미적 감각을 가리키

기도 합니다.

 

4) 반야와 현대적인 의미

현대에는 반야가 심리학과 철학에서도 사용되며, 모든 존재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관

점을 나타낼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야는 불교에서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지혜와 깨달음을 향한 여정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무지와 착각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달을 수

있게 되며, 이는 불교 수행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지혜

 

반야(般若)


지혜로서 대변하며
부처님의 지혜이신
깨달음을 성취위한
단계로서 실상반야
관조반야 방편반야
세가지로 구분하네

부처님의 경전읽고
공부하며 이해하는
문자반야 방편반야

실상편견 고정관념
없이있는 그대로를
바라보는 관조반야

부처님법 이해하고
실천하여 나타나는
진리실상 실상반야

 

3. 바라밀다(波羅蜜多)

바라밀다는 범어로 파라미타(Paramita)라고 합니다. 그 뜻은 도피안(到彼岸),도무극(

無極), 사구경(事究竟) 등으로 번역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바라저 언덕[피안], ‘

건넌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그러므로 그 뜻을 풀이하면 저 언덕으로 건너간다

의미를 가지는 것이지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불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완벽한 미덕'이나 '극도의 노력'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불교 수행자들이 깨닫기를 원하는 이상적인 상태를 가리키며,

러 가지 미덕들을 향한 노력을 의미합니다.

 

1) 바라밀다의 의미

바라밀다는 주로 불교 경전인 '바라밀다 수트라(波羅蜜多心經)'에 나오며, 여기서는 여러

가지 미덕들을 향한 극도의 노력과 그 결과를 묘사합니다. 이는 불교 수행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여겨지며, 바라밀다를 통해 깨달음을 얻기 위한 노력이 강조됩니다.

 

2) 육바라밀

육바라밀(六波羅蜜)은 여섯 가지 덕목 · 수행 · 실천을 통칭하는데, 구체적으로 다음을 뜻한다.

 

보시 바라밀(布施波羅蜜): 재시(財施) · 법시(法施: 진리를 가르침) · 무외시(無畏施: 공포를

제거하고 마음을 안정시킴)의 실천

지계 바라밀(持戒波羅蜜): 계율을 지키고 항상 자기반성을 하여 자신의 행동을 규율

하는 것

인욕 바라밀(忍辱波羅蜜): 고난을 이겨 나가는 것 (원래 인욕(忍辱)은 법을 진실로 인

정하고 이에 복종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정진 바라밀(精進波羅蜜): 보살로서의 수행을 힘써 닦으며 꾸준히 노력하는 것

선정 바라밀(禪定波羅蜜): 마음을 안정시켜 올바른 지혜(무분별지)가 나타나게하는

수단인 선정(禪定)을 닦는 것

반야 바라밀(般若波羅蜜): 진실하고 올바른 지혜, 즉 무분별지(無分別智)를 작용 시키

는것

6바라밀의 여섯 가지 덕목들에서는, 우선 보시, "주는 것"을 강조하고 마지막 덕목으로

지혜(무분별지)의 완성을 말하고 있다. 이들 여섯 가지 바라밀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마지막 여섯 번째인 반야, 즉 지혜(무분별지)이다. 다른 다섯 가지 덕목 또는 수행

("오행 · 五行"")은 반야바라밀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보살행, 즉 보살의 행이란

지혜(무분별지)에 의거한 자비행(慈悲行)이다.

 

3) 바라밀다의 수행

불교 수행자들은 바라밀다를 향한 극도의 노력을 통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각각의 바라밀다는 미덕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마음을 정

화하고 진리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4) 바라밀다의 현대적인 해석

현대에는 바라밀다의 개념이 불교뿐만 아니라 종교 이외의 분야에서도 응용되며, 미덕

과 극도의 노력을 통해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바라밀다는 불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불교 수행자들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더 높은 미덕을 개발하고 진리를 깨

닫게 되며, 이는 불교 수행의 근간이 됩니다.

피안의 세계

 

바라밀다(波羅蜜多)
저언덕을 건너간다
이언덕은 우리들이
살고있는 사바세계
저언덕은 깨달아서
참나찾은 피안세계
이언덕과 저언덕의
구분없는 참된지혜
깨달아서 피안정토 
불국토인 부처님의
이상세계 열반세계
해탈경지 상징하네

 

심경(心經
핵심되는 경전이라

해탈

 

 

단청의 화원 https://flower5223.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