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도교/황제음부경6 02. 구겸지 (중국 도교 사상가) [寇謙之] 02. 구겸지 (중국 도교 사상가) [寇謙之] 중국도교사상가, 철학자 ?~448.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도가(道家) 사상가로서 도교 제식(祭式)의 여러 가지 의례와 의식을 정리했으며 도가이론을 재정립했다. 그가 끼친 영향은 대단해서 도교를 북위(386~534/535)의 국교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 일 때문에 도교는 오랜 기간 종파들 사이에 피비린내나는 정치적 투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구겸지는 원래 도교의 의사 겸 위생학자였다. 그러나 415년 한 선인(仙人)이 나타나 도교의 위대한 창시자인 장릉(張陵:34(?)~156)이 죽은 뒤 교단이 잘못된 교리 때문에 타락했다고 말해주는 환상을 보았다. 구겸지는 장릉의 뒤를 이어 천사(天師)의 직위에 올랐으며 환상을 통해 도교의식의 무절제함을 없애도록 지시.. 2023. 8. 30. 01. 음부경(陰符經)이란 01. 음부경(陰符經)이란 중국의 도교 경전으로〈황제음부경 黃帝陰符經〉이라고도 한다. 본래 황제가 지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위작임이 분명하다. 또는 도교의 확립자인 북위(北魏) 때의 도사(道士) 구겸지(寇謙之)가 지어서 명산(名山)에 숨겨놓고 후세에 전했던 것을 당대(唐代)의 이전(李筌)이 쑹산 산[崇山]의 석실(石室)에서 발견했다고도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 〈음부경〉은 당대초의 저수량(褚遂良)과 구양순(歐陽詢)이 쓴 사본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수대(隋代) 이전에 지어 졌을 것이다. 상편은 수련성선(修煉成仙)의 도를, 중편은 부국안민(富國安民)의 법을, 하편은 강병전승(强兵戰勝)의 기술을 논하고 있다. 음양5행의 변화를 통해 인간의 희망과 행동이 모름지기 객관적인 법칙에 부.. 2023. 8. 30.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